STORY 2020/08/31

우리는 과연 껌을 언제부터 씹었을까요?

  • 페이스북 아이콘
  • 트위터 아이콘
  • 카카오스토리 아이콘
  • 밴드 아이콘
  • url 아이콘
  • 닫기 아이콘
공유하기 아이콘

껌 순기능 효능 역사 롯데 껌 롯데제과 자일리톨

운동 선수들이 경기 중에 껌을 씹는 모습,
한 번쯤 본 적 있으시죠? 오늘은 껌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롯데자이언츠 롯데 골프단 롯데중앙연구소 롯데제과 맞춤껌 맞춤형 껌

지난 4월, 롯데중앙연구소롯데자이언츠
선수용 맞춤 껌을 특수 제작해 전달했습니다.
롯데중앙연구소는 사전에 연구원들과 면담을 통해
선수 개개인의 껌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후
물성의 강도와 맛, 크기 등에 대한 세부 정보를 취합해
맞춤형 껌을 제작했는데요. 이후, 롯데중앙연구소는
롯데 골프단 선수들을 위한 맞춤형 껌도 제작 지원하며
향후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롯데 껌 롯데중앙연구소 선수 맞춤껌 롯데자이언츠 전준우

실제로 본인 기호가 반영된 맞춤형 껌을 받은
롯데자이언츠 전준우 선수는 이렇게 전했습니다.
“경기에 앞서 껌을 씹으면 긴장이 완화되고
경기에 더 집중되는 느낌을 받아 연구소에서
제공해 준 맞춤 껌을 즐겨 씹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언제부터 껌을 씹었을까요?

껌의 역사 6.25 전쟁 미군 쥬시민트 풍선껌 치클

누구나 즐겨씹는 껌, 그 시작이 궁금하실 텐데요.
껌은 BC 3백 년경, 멕시코의 마야족이 사포딜라
나무의 수액을 채취해 끓여서 만든 치클을
씹었던 것이 기원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껌이 대중에게 소개된 시기는
6.25 전쟁 직후 미군들에 의해 알려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껌 시장의
70% 이상의 점유율을 가진 롯데제과는
회사를 설립한 1967년, 최초의 껌인 ‘쿨민트껌’,
‘바브민트껌’, ‘쥬시민트껌’ 등 6종을 출시했습니다.
이 제품들을 통해 그해 3억 8,0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는데요. 당시 껌 가격이 2~5원에
불과했으니 결코 적은 실적은 아니었습니다.
1970년대부터는 풍선껌과 향기껌, 일반껌으로
불리는 기호껌 등이 잇따라 출시됐습니다.

 

롯데제과 대형껌 쥬시후레쉬 후레쉬민트 스피아민트 대형껌 천연 치클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껌이 주목을 받게 된 건
1972년 일명 ‘대형 껌 삼총사’로 불린 쥬시후레쉬,
후레쉬민트, 스피아민트 3종이 출시되면서 였습니다.
일반껌의 대표적인 ‘대형껌’은 한국의 껌 역사에서
큰 의미를 갖습니다. 기존 껌이 6.5cm였던 것에 비해,
대형 껌 삼총사는 7.3cm로 두꺼웠는데요.
대형 껌은 한국사람의 구강 구조, 턱의 강도, 입맛 등
인체 공학적인 설계에 따라 개발됐습니다. 인공합성수지
대신 고무 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인 ‘천연 치클’을
처음 썼고, 제품 용량을 기존 5매에서 6매로 늘렸습니다.
껌에 빗살무늬를 처음 넣었고, 방수 포장을
시도한 것도 최초였습니다.

이후로도 롯데제과는 다양한 기능성 껌을 선보이며
껌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 껌이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시장 정착에 성공한 기능 껌인 롯데 자일리톨껌은
전체 껌 시장 2,000억 원 중에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롯데의 껌 씹는 기업 문화

롯데 VCM 자일리톨 신동빈 껌

올해 7월, 롯데그룹 계열사 대표이사 및 경영진이
모두 참석해 진행되는 중요 회의인
‘VCM(Value Creation Meeting)’ 회의실에는
자일리톨 껌이 등장했습니다.

앞서 신동빈 회장은 롯데그룹 수뇌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주간회의에서 껌을 씹으며 회의를
주재한 바 있는데요. 이번에는 모든
그룹사 대표들이 모인 회의실에도
껌이 등장한 것입니다.

 

롯데 자일리톨 껌 씹는 문화 회의

이처럼 롯데그룹은 최근 회의나 미팅 중에
껌을 씹는 문화를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지난 7월 초부터 40여 개 계열사 회의실
600여 곳에 자일리톨 껌 1,000여 개를 비치하고
회의 시간에 껌을 씹는 것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데요.
회의실에는 ‘껌 씹고 집중!’ 이라는 문구와
껌 씹기의 장점 등을 새겨 넣은 배너도 설치했습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격의 없고 자유로운 분위기가 만들어지니 직원들도
더 자유롭고 활발하게 아이디어를 내는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이렇게 껌을 씹으며 회의하는 문화는
근무 복장 자율화, 원격 근무 의무화 등과 더불어
자유롭고 유연한 기업문화 행보로, 직원들의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롯데 껌 문화

매력만점 껌 이야기, 정말 흥미롭죠?
앞으로도 운동할 때, 공부할 때, 일할 때.
껌과 함께 해보세요.

 

목록 공유
  • 페이스북 아이콘
  • 트위터 아이콘
  • 카카오스토리 아이콘
  • 밴드 아이콘
  • url 아이콘